본문 바로가기
주식 공부

매파? 비둘기파? 누구냐, 넌!

by 심쿵냥이 2025. 1. 22.

 

요즘 경제 관련 뉴스를 보다 보면, 미국 금리를 결정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FED, 연준) 소식을 전하며 '매파'와 '비둘기파'에 대한 언급이 자주 들리고는 합니다.

 

영어로는 '매파'는 'hawks'이고, '비둘기파'는 'doves'입니다.

 

처음 '매파', '비둘기파'와 같이 갑자기 새 이름을 뉴스에서 접하시는 분이 계신다면, 굉장히 낯설었을 텐데요.

 

한번 같이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기로 해요.

 

 

 

매파와 비둘기파 어원

 

 

매파와 비둘기파에 대한 용어들은 1960년대 미국에서 베트남 전쟁에 대한 논쟁 속에서 처음으로 널리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당시 전쟁을 지지하는 강경파는 매파로, 반전 평화주의자들은 비둘기파로 불리기 시작했다고 하죠.

이후 경제 정책과 다른 분야에서도 이 용어들이 사용되며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고 합니다.

 

FED의 매파와 비둘기파

 

 

실질적인 미국의 중앙은행 역할을 하는 FED는 경제 정책 결정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죠.

 

이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FED 내의 인사들은 대개 두 가지 주요 진영으로 나뉘는데, 앞에서 언급했듯이 이 두 가지 진영을 성향에 따라 '매파(hawks)'와 '비둘기파(doves)'라고 부릅니다.

 

 

 

매파 (Hawks)

매파는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 억제에 중점을 두는 입장을 가진 사람들을 말합니다.

그들의 주요 목표는 물가 안정으로 매파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금리 인상 선호 : 매파들은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을 때 이를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높은 금리는 차입 비용을 증가시켜 소비와 투자를 줄이고, 이를 통해 경제 과열을 막고 물가 상승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 긴축적인 통화 정책 : 매파들은 경제가 과열될 때 통화 정책을 긴축적으로 운영하여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려고 합니다. 이는 종종 경제 성장을 둔화시키지만, 장기적으로는 안정적인 경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 강한 인플레이션 억제 의지 : 매파들은 인플레이션이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비둘기파 (Doves) 

비둘기 파는 대체로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실업률을 낮추는 것을 우선시하는 입장을 가진 사람들입니다. 그들의 주요 목표는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완전 고용을 달성하는 것으로 비둘기파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금리 인하 선호 : 비둘기파들은 경제가 둔화되거나 실업률이 높을 때 금리를 인하하여 경제 활동을 촉진하고 고용을 늘리려 합니다. 낮은 금리는 차입 비용을 낮추어 소비와 투자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 완화적인 통화 정책 : 비둘기파들은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완화적인 통화 정책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이는 종종 인플레이션을 용인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지만, 경기 침체를 방지하고 경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 실업률 감소 및 경제 성장 중시 : 비둘기파들은 인플레이션보다 실업률과 경제 성장이 더 중요한 문제라고 봅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이 다소 높아지더라도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을 선호합니다.

 

FED 내에서 매파와 비둘기파의 균형은 경제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각 시기의 경제 상황과 FED의 정책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인플레이션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될 때는 매파의 입장이 강화될 수 있고, 경기 침체가 우려될 때는 비둘기파의 입장이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둘 간의 균형과 논의는 FED의 정책 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최근 고물가 우려가 지속되면서 미국 FED 안팎에서 피벗(pivot·정책 전환) 기대감이 다소 후퇴하고 있는 듯하죠.

올해 미국의 기준금리가 현 5.25~5.5%에 영향을 받아 한국 기준금리도 3.5%에서 꼼짝을 안하고 있는 상태네요.

 

다들 고금리 고물가로 많이 힘드시죠?

 

조금씩 참고 견디다 보면, 조만간 경제 호황 시기가 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우리 모두 파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