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공부

주식 배당락에 대해 알아보기

by 심쿵냥이 2025. 2. 4.

요즘 월마다 분기마다 년마다 주식 배당받으시는 분 많으시죠?

 

배당받고 싶은 주린이는 그 의미가 헷갈리고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도 있는데, 배당락(ex-dividend date)에 대해 한 번 의미를 제대로 알아보고자 합니다.

 

 

 

 

 

 

배당락의 개념 및 주요 사항

 

배당락은 주식 배당과 관련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주식시장에서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날을 의미합니다. 배당락일을 기준으로 주식을 매수한 투자자는 배당금을 받을 수 없으며,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 마지막 날은 보통 배당락일의 전날입니다. 아래는 배당락과 관련된 주요 사항들입니다.

 

  • 배당락일(ex-dividend date): 배당금을 받기 위해 주식을 매수해야 하는 마지막 날의 다음 날입니다. 즉, 배당락일 당일에 주식을 매수한 경우, 해당 주식의 배당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 배당기준일(record date): 회사가 주주명부를 확인하여 배당금을 지급할 주주를 확정하는 날짜입니다. 배당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주주가 배당금을 받을 권리를 가집니다.

 

  • 매수 결제 주기: 주식 거래가 체결된 후 실제 결제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장에서는 거래일(T)로부터 2 영업일 후(T+2)에 결제가 완료됩니다. 이로 인해 배당락일은 보통 배당기준일 2 영업일 전으로 설정됩니다.

 

  • 주가 변동: 배당락일 당일에는 배당금 지급에 따른 주가 조정이 이루어집니다. 배당금의 가치만큼 주가가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당 1000원의 배당금을 지급하는 회사의 주가가 배당락일 전에 20000원이었다면, 배당락일 당일에는 주가가 19000원으로 시작될 수 있습니다.
 

예시

  1. 배당기준일: 12월 31일
  2. 배당락일: 12월 29일 (배당기준일의 2영업일 전)
  3. 마지막 매수일: 12월 28일 (이 날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음)

따라서, 12월 28일까지 해당 주식을 매수한 투자자는 12월 31일에 기록된 주주명부에 등재되어 배당금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12월 29일 이후에 주식을 매수한 투자자는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없게 됩니다.

 

배당락을 이해하면 배당 관련 투자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며, 배당락일을 고려한 매매 타이밍을 잘 조절하면 보다 효과적인 투자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