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 리뷰

최소한의 부의 세계사 (역사 속에서 배우는 경제적 통찰)

by 심쿵냥이 2025. 3. 20.

 

부와 경제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인류의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진화해온 중요한 요소입니다. 한정엽 저자의 『최소한의 부의 세계사』는 세계사를 통해 부와 경제의 흐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입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경제적 통찰을 키우고, 미래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

 

많은 사람들이 경제 공부를 해야 한다는 필요성은 느끼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해합니다. 『최소한의 부의 세계사』는 경제의 기본 개념을 역사적 사건과 연결하여 설명하기 때문에, 경제를 어렵게 느끼는 사람들에게도 친숙하게 다가갑니다. 또한, 세계사를 통해 경제적 패턴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경제 흐름을 예측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목차 소개

 

 

 

Chapter 1 은행⦁은행은 어떻게 미국을 죽였다 살렸나
01 중앙은행 - 신용으로 세운 금융 강국의 뿌리
02 주법은행 - 지역은행의 명확한 한계
03 제1미국은행 -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조절할 때
04 제2미국은행 - 투자의 거품이 꺼지고 남은 것
05 은행 전쟁 - 정치가 경제를 좌우할 때 일어나는 재앙
06 국립은행법 - 순식간에 회복된 은행권의 신용
07 1907년 금융공황 - 은행을 위기에 빠뜨린 인간의 욕심
08 연방준비제도 -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앙은행의 탄생
◆ 한국 경제가 연준의 결정을 두 눈 빠져라 기다리는 이유

Chapter 2 달러⦁세계를 지배한 녹색 종이 쪼가리의 탄생
09 그린백 - 미국의 분열과 갈등으로 탄생한 화폐
10 제1·2차 세계대전 - 미국이 유럽을 앞서게 된 계기
11 브레턴우즈 체제 - 달러는 어떻게 세계를 지배하게 됐을까?
12 냉전과 베트남 전쟁 - 달러를 찍어 위기를 막아라
13 닉슨 쇼크 - 금본위제의 종말과 폭주하는 달러
14 페트로 달러 - 왜 중동의 기름은 달러로만 살 수 있을까?
◆ 미중 갈등이 한국 강남 집값에 미치는 영향

Chapter 3 금융정책⦁자본주의 대전쟁, 케인스주의 vs. 신자유주의
15 1929년 대공황 - 축제가 끝나면 금리가 오르는 이유
16 뉴딜 - 인간의 선의가 성공한 처음이자 마지막 사례
17 자본주의의 황금기 - 케인스의 도움으로 마음껏 부를 만끽하다
18 두 번의 석유파동 - 세계 경제를 집어삼키다
19 스태그플레이션 - 성장과 둔화가 함께 온다고?
20 레이거노믹스 - 케인스를 이긴 신자유주의 정책
◆ 불평등은 자본주의의 숙명일까?

Chapter 4 경제 위기⦁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누구나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21 정화 유통령 - 정치적 오판으로 시작된 경제 불황
22 골드러시 - 황금에 눈이 먼 사람들
23 1873년 대불황 - 세계 최초의 장기불황으로 탄생한 제국주의
24 3대 금융 사건 - 저축대부조합 사태, 롱텀캐피털매니지먼트 사태, 닷컴버블
25 분식회계 - 엔론과 월드컴이 벌인 가공할 범죄
26 2008 금융위기 - 진짜 위기는 ‘잘 알고 있다’는 착각에서 시작된다
◆ 돈을 벌면 투자고 돈을 잃으면 투기다?

Chapter 5 기술 발전⦁초강대국 미국을 만든 5가지 기술
27 대륙횡단철도 - 하나로 연결된 미국 대륙
28 금융자본주의 - 미국 금융의 황제 J.P. 모건
29 밀가루 혁명 - 에번스의 제분기와 매코믹의 밀 수확기
30 제조업의 폭발적 성장 - 콜트의 표준화와 포드의 포드주의
31 항공 우주 산업 - 달까지 날아간 라이트 형제
◆ 돈을 벌 수 있다는 개인의 기대감이 불러온 국가의 발전

 

 

기억에 남는 대목

 

"부는 한순간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그것은 시대의 변화 속에서 점진적으로 형성된다."

 

이 문장은 부와 경제가 단순히 개인의 노력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시대적 변화와 역사적 흐름 속에서 만들어진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는 현대 경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관점을 제공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빠른 부의 축적을 원하지만, 역사적으로 부는 점진적인 과정 속에서 형성되어 왔습니다. 이 문장을 통해 우리는 경제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또한, 역사 속에서 경제의 흐름을 읽고 미래를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상기할 수 있습니다.

 

 

책을 통해 느낀 점

 

이 책을 읽으면서 경제를 단순히 숫자로만 이해할 것이 아니라, 세계사적인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점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과거의 경제적 변화가 현재와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보다 현명한 경제적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최소한의 부의 세계사』는 경제와 역사에 대한 흥미를 동시에 불러일으키는 책으로, 누구나 쉽게 읽고 배울 수 있는 필독서라 할 수 있습니다.


 

한정엽 저자의 『최소한의 부의 세계사』는 경제와 역사를 동시에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책입니다. 경제적 흐름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싶은 사람들에게 강력히 추천하며, 경제 공부를 처음 시작하는 이들에게도 유익한 입문서가 될 것입니다.